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직계존속 직계비속 구분 직계존속(直系尊屬) 직계비속(直系卑屬) 한 방에 이해하기 입니다. '존속'과 '비속'이 평소에 사용하지 않는 말이라서 어렵게 느껴집니다.한자를 알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. 尊 : 높을 존 1. 높다 2. 높이다 3. 공경하다 4. 우러러보다 부모와 자식 중 우리가 더 존중하는 대상은 '부모'일 것입니다.따라서 직계존속은 간단히 말하면 부모님입니다.그런데 직계존속은 더 포괄적인 범위를 뜻하는데나에게 피를 준 사람을 모두 포함합니다.즉, 아버지, 어머니, 할아버지, 할머니, 더 윗 조상님도 됩니다.그럼 외가쪽은 어떨까요? 피를 주신 분이므로 당연히 포함됩니다.즉, 외할아버지, 외할머니도 직계존속입니다. 이제 비속은 반대로 생각하면 됩니다.내가 피를 물려준 사람으로 자식, 손자, 손녀, 외손자, 외손녀 등.. 더보기
xml파일에서 개행문자(^M)제거하기 윈도우에서 실행하는 파이썬 프로그램이 xml파일을 저장하고 나서 그 파일을 리눅스에서 vi편집기로 열어보면 줄 마지막에 ^M과 같은 문자가 나온다. 이것은 윈도우와 리눅스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다. OS마다 줄 바꿈에 대한 정의가 다른데 윈도우와 DOS는 줄 바꿈이 CRLF이고, 리눅스와 유닉스(C언어)는 LF만으로 끝난다. 여기서 CR과 LF는 또 무언인가? CR(Carriage Return)은 맨 앞으로 이동(c언어에서의 \r), LF(Line Feed)은 다음 줄로 이동(바로 아래로 이동하며 다시 맨 앞으로 이동하지는 않음) (c언어에서의 \n) 직접 눈으로 확인해보자. notepad를 설치해서 '보기>기호 보기>줄 끝 표시' 를 선택해주고 아무내용 엔터를 쳐서 몇 줄 입력해본다. 그럼 위와 .. 더보기
거스름돈 계산 (서양식) 물건을 사고 팔때 거스름돈이 헷갈릴때가 종종 있다. 특히나 가게 주인 입장에서는 큰 돈을 받아서 거스름돈을 내주어야 할 때가 많다. 예로 손님이 3300원짜리 과자를 하나 샀을때 만원을 가게주인에게 건넸다면 만원 빼기 3300원 = 6700원 이렇게 순식간에 암산을 하게 된다. 이것을 서양식으로 한 번 해보자. 원리는 이렇다. 손님에게 상품과 거스름돈의 합계가 만원이 되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다. 이때 거스름돈을 한번에 암산하지 않고 지폐부터 한장씩 건네주면서 시작한다. 말로 풀어본다. 손님 여기 3300원짜리 과자 있습니다. (천 원 짜리 지폐를 한장씩 건네주며) 4300원 5300원 : : 8300원 9300원 여기부터는 동전을 건넨다. 9400원 9500원 : : 9900원 10000원 안녕히 가세요. 더보기
평수변환 쉽게 오랫동안 사용해온 넓이의 기준인 '평(坪 평평할 평)'이 제곱미터로 바뀐지도 꽤 되었지만 여전히 우리는 '평'에 익숙하다. '평'의 의미는 성인 한 사람이 다리뻗고 양 팔을 벌리고 누울 수 있는 공간이다. 이제 우리의 양 팔을 벌려보자. 대략 눈 대중으로 봐도 1미터는 넘고 2미터는 안 될 것이다. (대략 양 팔을 벌렸을때의 길이는 그 사람의 키 와도 비슷한데 한국인 평균 기준으로는 키에서 10을 빼면 팔 길이가 된다.) 나름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사람의 평균키를 1.8미터로 생각하면 된다. 1.8 x 1.8 = 3.3 따라서 1평 = 약 3.3제곱미터가 된다. 여기서 1.8 x 1.8 은 사실 쉽지 않다. 하지만 3.3이란 숫자는 쉽다. 따라서 숫자는 그냥 3.3만 머리에 넣어두자. 그리고 1평이 1.. 더보기